전체 글812 중요한 호르몬 분비하는 부신 신체 내에서 어떤 일을 하나요? 부신은 신장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내분비 기관입니다. 즉 우리 몸에서 필요한 호르몬을 혈류로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부신은 바깥쪽의 피질과 안쪽의 수질로 구분되는데요. 각각에 따라 분비되는 호르몬이 다릅니다. 부신은 양쪽 신장의 위쪽에 위치하는 내분비 기관으로 우리 몸에 신장과 같이 두 개가 존재합니다. 부신은 바깥쪽의 피질과 안쪽의 수질로 나뉩니다. 부신피질은 다른 말로 부신겉질이라고 하며 부신 수질은 부신 속질이라고도 말합니다. 부신에서 분비되는 모든 호르몬은 뇌의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중 시상하부가 부신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핵심 역할을 합니다. 뇌하수체는 시상하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받으면 부신의 호르몬 분비를 자극하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분비하게 되는데 이 호르몬이 작용되면.. 2023. 7. 20. 내 안의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는 혼자여행 추천 혼자여행이 좋은 이유는 낯선 곳에서 또 다른 나 자신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가 몰랐던 나 자신을 찾는 순간 용기를 얻기도 하고 때론 실망을 하기도 합니다. 긍정적인 면이든 부정적인 면이든 모두 다 나의 자아이기 때문에 거기서 배우는 부분이 참 많습니다. 혼자여행이야말로 진정한 여행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여행은 사전적 의미로 자기의 거주지를 떠나서 객지를 다닌다는 뜻인데요. 여행은 한자로 旅行인데 旅는 나그네를 뜻하고 行은 다닌다를 의미합니다. 여행을 한다는 것은 나그네, 즉 여행자가 되어 내가 잘 모르는 또 다른 세상에서 또 다른 자신을 찾아볼 수 있는 것이죠. 혼자여행은 내 안의 또 다른 자아를 발견할 수 있는 시간인 것 같습니다. "너 자신을 알라!"라는 유명한 명언으로 알려져 있습.. 2023. 7. 19. 에피네프린 vs 노르에피네프린 차이점 알아보기 결론적으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호르몬이면서 신경전달물질이라는 것입니다. 에피네프린은 다른 말로 아드레날린이라고 하고 노르에피네프린은 노르아드레날린이라고 합니다. 이 둘은 신체가 얼마나 위험상 상태인지 강도에 따라 분비의 양이 서로 다릅니다. 에피네프린은 신체가 위험에 처했을 때 즉, 긴장, 흥분, 공포 등의 감정을 느끼는 상태가 되면 활성화되어 분비되는 물질입니다. 에피네프린은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혈압을 상승하게 하며 혈관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하여 신체가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도록 합니다. 에피네프린은 근육의 긴장을 늘려 우리 몸이 도망가거나 싸울 수 있도록 강한 상태로 만들어 줍니다. 이때 호흡도 빨라지고 더 많은 산소도 몸속으로 들어옵니다. 모든 신체의 에너지가 위험 상황에.. 2023. 7. 18. 도파민 무엇이고 도파민 중독이라는 의미는? 도파민은 중추신경계에 있는 신경전달물질이며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전구물질이기도 해요. 도파민은 뇌에서 우리 몸의 운동기능 조절, 새로운 것에 대한 탐색, 주의력, 성취, 무엇인가를 하고 싶은 마음 등과 관련되어 있는 물질입니다. 도파민 중독은 위에서 언급한 대로 새로운 것에 대해 끊임없이 탐색하고 자극을 원하는 마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인데요. 이는 도파민에 대한 부정적인 면을 강조한 것입니다. 최근 지속적인 스마트폰의 사용과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도파민 중독이라는 말이 나온 것인데요. 도파민은 뇌에서 우리 몸의 운동기능을 조절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탐색, 내적동기의 활성화, 주의력, 성취감 등과 연관이 되어 있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즉, 도파민은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물질로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 2023. 7. 17. 뇌졸중 vs 뇌경색 vs 뇌출혈 차이점 알아보기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뇌졸중은 뇌에 연결되는 동맥이 막히거나 파열되면서 발생하는 뇌 질환입니다. 뇌경색과 뇌출혈은 뇌졸중의 하위질병 즉, 뇌졸중의 종류로 볼 수 있는데요. 뇌에 연결되는 동맥이 막히는 것이 뇌경색이고 동맥이 파열되어 나타나는 것이 뇌출혈입니다. 뇌졸중은 무슨 질환인가?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인 동맥이 막히거나 파열되면서 뇌기능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장애가 발생하는 뇌질환입니다. 뇌졸중은 왜 발생할까? 뇌졸중의 원인은 일반적으로 가족력, 노화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뇨병, 뇌동맥류, 혈관 기형, 색전증, 죽상동맥경화성 혈전증, 심방세동 등 심혈관질환, 이상지질혈증 등의 질환으로 인해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뇌졸중을 일으키는 위험 인자를 가진 .. 2023. 7. 17. 혈관의 종류 및 기능 알아보기 혈관은 크게 동맥, 정맥, 모세혈관 이렇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혈관은 심장 박동에 의해 심장에서 혈액이 흘러나와 우리 몸 전체를 순환하며 이동하는 통로를 말합니다. 혈관의 종류와 각 혈관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혈관은 혈액을 각 장기와 조직 사이를 순환시키는 통로로 영양분과 산소를 흘려보내고 말초세포와 조직이 배설하는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혈관은 구조와 기능에 따라 크게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구분합니다. 동맥은 산소나 영양분이 함유된 혈액을 심장으로부터 온몸으로 내보내는 혈관입니다. 즉,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이 흐르는 혈관이 동맥인 것이죠. 심장에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강한 압력이 가해지는데 이로 인해 그 압력을 견디도록 동맥 혈관벽은 두껍고 높은 탄력.. 2023. 7. 16. 말초신경 하는 일 무엇인가요? 말초신경은 신체의 피부 및 골격근, 모든 장기로부터 수집된 감각을 중추신경으로 전달하고 중추신경의 운동자극을 다시 이들에게 전달하는 신경을 말합니다. 말초신경은 척수신경과 뇌신경인 체성신경 및 자율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말초신경 중 체성신경으로는 31쌍의 척수신경과 12쌍의 뇌신경으로 이뤄져 있으며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말초신경의 구조는 뉴런과 시냅스로 구성되어 있고 신경 그물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말초신경의 세포 몸체가 가끔 모여있는데 이를 신경절이라고 말합니다. 말초신경은 2가지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체성신경과 자율신경입니다. 체성신경의 기능으로는 인체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외부 자극을 받으며 각성 상태에서 이들을 조율하는 일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 2023. 7. 15. 기억력 회복 및 손상 관련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 알아보기 기억력을 회복시킬 수 있고 손상시킬 수 있는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입니다. 그래서 뇌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져 있는데요. 기억력과 관련된 아세틸콜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세틸콜린은 자율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입니다. 뇌와 척수로 구성된 중추신경계 및 말초신경계 모두에 작용을 합니다. 이렇게 아세틸콜린이 중추신경계에 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억력 회복 및 손상에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아세틸콜린은 뇌와 척수로 이뤄진 중추신경계에서 신경조절인자로 작용을 하는데 가소성, 각성 및 보상체계에 관여를 합니다. 즉, 우리가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깨어있는 상태인 각성 상태일 때 아세틸콜린은 감각 지각 능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계속해서 주의력과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 2023. 7. 15. 스노클링 기본 장비 및 호흡법 알아보기 스노클링 기본 장비는 스노클 마스크, 스노클, 핀 그리고 웻슈트입니다. 스노클 마스크는 코까지 덮는 물안경이고 스노클은 수중에서 호흡할 수 있는 긴 관을 말합니다. 핀은 오리발이고 웻슈트는 잠수복을 말합니다. 최근 스노클링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기본 장비 및 호흡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노클링 시 기본적으로 장착해야 하는 장비는 스노클 마스크, 스노클, 핀입니다. 잠수복인 웻슈트는 추운 날씨나 특정 상황에 따라 착용해야 할 수도 있고 착용하지 않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장갑과 부츠가 있는데 바다 환경에 따라 착용하거나 미착용합니다. 기본 장비 중 스노클 마스크는 코에 물이 들어가지 않고 호흡할 수 있도록 코까지 덮는 물안경이며 마스크가 얼굴에 잘 장착되도록 끈 조절이 쉽고 잘 .. 2023. 7. 14.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