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멘탈 관리 정보72

세로토닌 분비 기관 및 세로토닌 높이는 방법 세로토닌 분비 기관 및 세로토닌 높이는 방법 세로토닌은 장에서 95% 가장 많이 생성되고 뇌, 혈소판, 척수 등을 포함한 신체 여러 기관 곳곳에서 만들어집니다. 세로토닌은 뇌에서만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 및 호르몬이라고 생각했지만 장에서 가장 많이 분비되는데요. 세로토닌을 행복 호르몬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기분, 수면, 식욕, 통증 등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죠.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인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는 것이 잘 수행되도록 하는 행복 호르몬이 세로토닌이라는 것입니다.   세로토닌 주요 분비 기관장세로토닌은 장에서 약 95% 정도 분비됩니다. 장에서 소화관 트랙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발견되는 엔테로크롬친화성 세포라는 EC세포가 존재하는데 이는 체내 세로토닌의 95% 정도를 생성해 냅니다 장에서 만들어진 세로토닌은 기분, 식욕.. 2025. 3. 31.
마음챙김 해야 하는 이유 및 실행 방법 마음챙김 해야 하는 이유 및 실행 방법 마음 챙김은 기본적으로 스트레스를 낮추는데 도움 되고 불필요한 감정 소비를 줄여 장기적으로 정서적 안정에 큰 효과를 줄 수 있어요. 그동안 바쁘게 살아오면서 마음 챙김이라는 것을 해 본 적이 없는데요. 몇 년 전부터 나의 감정에 대한 소중함을 알게 된 후 그리고 감정을 컨트롤하는 방법을 공부하면서 마음 챙김을 시작하게 되었어요.   마음 챙김을 해야 하는 이유 인간은 가정이나 학교, 사회 등 소속된 환경 속에서 가족, 친구, 동료, 모임, 학교, 직장 상사와 같이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고 살아갑니다.   내가 아닌 다른 사람과 잘 지내기 위해 먼저 나 자신을 알아야 하는데요. 나의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키우게 되면 상대방의 감정으로부터 나를 보호할 수 있게 됩니다. 마음 챙김은 스트레스 감소뿐만 아니라 .. 2025. 3. 31.
건강한 스트레스(Eustress) vs 유해한 스트레스(Distress) 차이 건강한 스트레스(Eustress) vs 유해한 스트레스(Distress) 차이 건강한 스트레스와 유해한 스트레스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다만 스트레스는 그냥 모두 같으며 동일하게 결론적으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고 강조하는 전문가들도 많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 스트레스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건강에 도움을 줄 수도 있고 안 좋을 수도 있습니다.   건강한 스트레스란? 건강한 스트레스는 영어로 Eustress라고 하는데요. 건강하다고 말하는 스트레스의 경우는 도전, 동기 부여, 성취감, 흥분 등의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건강한 스트레스 건강한 스트레스 즉 뇌가 많은 일을 처리하면서 발생하는 적절한 수준의 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는 오히려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어요.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물질이 활성화되어 집.. 2025. 2. 28.
불안한 감정 자주 일으키는 요인 - 감정 다스리는 실천 팁 불안한 감정 자주 일으키는 요인 - 감정 다스리는 실천 팁 불안한 감정은 누구에게나 들 수 있는 감정 중에 하나입니다. 다만 불안한 감정을 다른 사람에 비해 자주 느끼는 사람들 있는데요. 불안을 자주 경험하거나 불안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요인들로 인해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불안한 감정 자주 일으키는 요인 1. 과도한 걱정아직 일어나지도 않은 일에 대해 계속 고민하거나 최악의 상황을 상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한 긍정적 결과를 시각화하여 긍정적 상상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부정적 결과를 머릿속에 계속 그려내는 것이죠. 사실 일어나지도 않은 미래의 일은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미리 걱정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죠.   2. 높은 민감도와 자기비판다른 사람의 .. 2024. 12. 21.
성격을 결정짓는 4가지 요인 - 나이 들어도 바꿀 수 있나? 성격을 결정짓는 4가지 요인 - 나이 들어도 바꿀 수 있나? 사람의 성격, 성질(기질), 성향을 결정짓는 데는 다양한 요인이 있으며 이들이 모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이들을 결정짓는 요인을 크게 4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뇌 구조 및 생리학적 요소, 그리고 자기 주도성입니다.   사람의 성격을 결정짓는 요인은? 1. 유전적 요인 사람의 성격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의 영향을 받게 되죠. 연구에 따르면 성격의 30%에서 50% 정도가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외향성, 내향성, 감정적, 안정성 같은 특성은 뇌의 신경전달물질과 관련된 유전자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죠. 특히 유전적 요소는 식습관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유전적으로 사람마다 영양소 대사 능력이 다르고 혈당 조절 유전자나 도파민 .. 2024. 11. 29.
정신적 vs 정서적 건강 차이점 무엇인가? 정신적 vs 정서적 건강 차이점 무엇인가? 결론적으로 정신적 건강이 정서적 건강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정신적 건강은 우리의 생각, 감정, 행동을 모두 포함하는 큰 개념을 말합니다. 반면에 정서적 건강은 감정에 집중된 개념을 말합니다.   정신적 건강 vs. 정서적 건강 비교 정신적 건강은 우리 전체적인 마음 상태를 나타내는 포괄적인 개념을 의미입니다. 정서적 건강은 전체적인 마음 상태에서 감정적인 부분에 초점을 둔 개념을 뜻합니다. 다만 정신적 건강과 정서적 건강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정서적인 어려움 즉 감정 상태는 정신적인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불안, 우울증, 공황장애 등의 정신적인 문제는 감정 조절에 어려움을 줄 수 있어 정서적인 건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게 될 수 있죠.   정신적 건강과.. 2024. 8. 11.
불행한 사람들의 7가지 특징 불행한 사람들의 7가지 특징 불행한 사람들의 특징에 대한 것은 심리학적 연구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인간은 행복할 권리가 있잖아요. 모든 사람들이 행복한 순간도 있지만 가끔 불행한 경험도 하죠. 하지만 모든 순간을 10으로 봤을 때 8 이상을 불행한 생각, 행동 등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불행한 사람들의 7가지 특징과 사례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불행한 사람들의 7가지 특징 및 사례 1. 부정적인 사고 패턴 불행한 사람들은 종종 부정적인 사고의 연속인 안 좋은 패턴에 빠져듭니다. 그들은 상황을 비관적으로 해석하고 최악의 결과를 예상하는 경향이 있어요. 작은 문제도 큰 위기로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모든 일이 잘못될 것 같아. 나는 항상 실패하는 것 같아. 이 프로젝트가 망하면 어떡하지? 등의 부정적인 생각이 꼬리.. 2024. 5. 24.
연애 안 해본 남자 및 여자 특징 (연애 경험 없는 사람은 이성에게 어떻게 대할까?) 연애 안 해본 남자 및 여자 특징 (연애 경험 없는 사람은 이성에게 어떻게 대할까?) 연애를 안 해본 남자 및 여자는 이성 교제에 대해 실제로 경험이 부족하여 이성 만남 자체에 어색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어색함이 지속되면 더욱더 연애에 소극적인 사람으로 되어가는 것입니다. 연애 경험이 없는 남자 및 여자는 이성 관계에 대한 판타지 즉 환상이나 비현실적인 기대를 갖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연애 경험 없는 사람은 이성에게 어떻게 대하나? 연애 경험이 없는 남자 및 여자는 이성과의 대화나 행동에서 어색함이나 부자연스러움을 상당히 느낄 수 있습니다. 상대방 이성에게 눈 맞춤을 하거나 대화를 시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과도하게 긴장하거나 행동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연애 경험 부족으로 인해 이성과의 자연스러운 소통 방식을 익히지 못했기 때문일 수 있는데요. 상대방에.. 2024. 5. 8.
자존감 낮은 사람 특징 및 자존감 높이는 방법 자존감 낮은 사람 특징 및 자존감 높이는 방법 자존감은 영어로 self-esteem이라고 하죠. 즉 자기 자신을 얼마나 존경하고 소중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정도를 의미합니다. 자존감이 낮다는 의미는 결국 자기 자신을 소중하지 않게 여기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죠. 이처럼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은 자기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고 사랑하지 않는 것입니다.   자존감 수업이라는 책에서는 자존감의 정의를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라고 언급했습니다. 자기 자신을 얼마나 높게 평가하는지 얼마나 낮게 평가하는지에 대한 정도를 말하죠. 이 책에서 말하는 자존감의 의미도 결국 자기 자신을 얼마나 사랑하고 소중하게 생각하는지의 정도인 것입니다.  자존감 vs 자존심 vs 자신감 아는 듯 모르는 3가지 개념 알아보기자존감, 자존심, 자신감의 개념을 당연히 알고 .. 2024.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