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관련 정보306

사워도우 스타터 천연 발효종 만들 때 묽어지는 이유 사워도우 스타터 천연 발효종 만들 때 묽어지는 이유 천연 발효종은 효모, 이스트 또는 르방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사워도우 즉 발효빵을 만들 때 사용되는 스타터인데요. 일반적으로 빵을 만들 때 상업용 이스트를 사용하는데 밀가루와 물 두 가지 재료로만 직접 만들어 사워도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천연 발효종을 만들 때 보통 7일 정도 소요됩니다.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효종에 포함된 미생물이 밀가루와 물속의 당분을 분해하면서 알코올과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냅니다. 이산화탄소가 발효종 안에 작은 기포를 만드는데 이렇게 형성된 기포들에 의해 발효종이 부풀어지게 되는 원리예요. 그런데 발효종이 부풀다가 꺼지면서 물처럼 묽어질 수 있는데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해 질수록 발효종의 질감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요.   이 원리는 효모와 젖산균 등의 미생물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2025. 3. 8.
시금치에 많은 옥살산의 양면성 - 건강하게 섭취하는 법 및 저옥살산 식품은? 시금치에 많은 옥살산의 양면성 - 건강하게 섭취하는 법 및 저옥살산 식품은? 옥살산은 시금치와 같은 잎채소, 감자, 비트 등 뿌리채소, 견과류 및 씨앗류, 씨앗이 있는 과일인 블랙베리, 키위, 무화과 및 퀴노아 등 일부 곡물류, 콩류 등으로 식물성 기반의 식품에 주로 들어있습니다. 거의 건강에 좋다는 식품들이죠.   옥살산이란? 옥살산은 작은 유기산 중에 하나로 결정 형태인 고체인데 물에 잘 녹는 편입니다.  물에 녹게 되면 산성을 띠는 물질로 매우 강한 유기산입니다. 옥살산과 더불어 옥살산염에 대해서도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옥살산에서 수소 이온이 제거되면 옥살산염이 되는 것인데 이는 자연에서 발견되며 주로 식물에서 대사산물로 자주 생성되는 물질이예요.   식물에서 미생물이나 곰팡이에 대해 방어를 위한 작용 기전으로 발생하는 것이죠. 즉 이는 식물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 2025. 3. 7.
미네랄이란? 2탄 - 10가지 미량 미네랄 역할 및 부족 증상 미네랄이란? 2탄 - 10가지 미량 미네랄 역할 및 부족 증상 미네랄은 주요 7가지 미네랄 이외에도 철, 아연, 요오드, 셀레늄, 구리, 망간, 크롬, 불소, 몰리브덴, 코발트 10가지 미량 미네랄이 존재합니다. 주요 7가지 미네랄보다 더 적은 소량으로도 여러 효소 반응과 대사 조절에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미네랄이란? 1탄 - 주요 7가지 미네랄 역할 및 부족 증상미네랄은 신진대사 기능 등 신체가 항상성 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죠. 미네랄은 무기질이라고도 하는데요. 피로감, 대사 장애, 수면 장애, 근육 경련 등 미네랄 부족으로 인해 다talking-about-health.tistory.com   10가지 미량 미네랄이 각각 하는 일과 부족 증상 철은 성인 기준으로 몸속에 약 2~4g 정도가 분포되어 있는데 주로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 형태로 존재합니다.. 2025. 3. 5.
미네랄이란? 1탄 - 주요 7가지 미네랄 역할 및 부족 증상 미네랄이란? 1탄 - 주요 7가지 미네랄 역할 및 부족 증상 미네랄은 신진대사 기능 등 신체가 항상성 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죠. 미네랄은 무기질이라고도 하는데요. 피로감, 대사 장애, 수면 장애, 근육 경련 등 미네랄 부족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각 미네랄마다 하는 일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미네랄이란? 미네랄은 우리 몸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고 생리 작용을 위해 필요한 영양소라고 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미네랄은 자체 합성을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음식을 통해 섭취를 해야 하는데요.   연령, 식습관, 개인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미네랄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어요. 저를 포함하여 많은 분들이 미네랄 영양제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종합 비타민제로 비타민과 미네랄이 같이 들어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으로 보.. 2025. 3. 5.
관절염 염증 완화 관련 MSM은 어떤 성분인가? - 어떤 식품에 많은가? 관절염 염증 완화 관련 MSM은 어떤 성분인가? - 어떤 식품에 많은가? 무릎 관절 보호 및 염증 감소와 통증 관리를 위해 MSM 성분이 함유된 보충제를 찾는 분들이 많이 있죠. MSM이란 메틸설포닐메탄의 약자인데 황을 포함하고 있는 화합물의 일종이에요. 즉, 황은 MSM과 같은 유기황 화합물의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비타민, 미네랄처럼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이죠.   MSM과 같은 황이 몸에 필요한 이유 황은 칼슘, 인 다음으로 체중의 0.3%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단백질 구조와 세포 기능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요. 단백질 구조와 세포 기능은 결국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겠죠.  MSM과 같은 황은 아미노산인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의 핵심 성분 중 하나인데요. 이 아미노산은 단배질 구조를 탄탄하게 만들고 안정화하는데.. 2025. 3. 4.
코엔자임큐텐 어떤 성분인가? - 효능 및 하루 권장 섭취량 코엔자임큐텐 어떤 성분인가? - 효능 및 하루 권장 섭취량 결론적으로 코엔자임큐텐은 심혈관 질환 위험 요소를 가진 분들이나 이를 예방하기 위한 분들 그리고 40대 이상 분들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는 성분입니다. 코엔자임큐텐은 사실 영양소 분류에 포함되지 않지만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조효소 역할을 하는 물질입니다.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지용성 물질로 항산화 성분이기도 합니다. 코엔자임큐텐은 코큐텐 (CoQ10)이라고도 불리는데 이 물질은 비타민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엔자임큐텐은 영양제, 보충제로 많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데요. 많은 다양한 영양제를 섭취하고 있는데 코엔자임큐텐까지 먹어야 하나라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코엔자임큐텐은 자신의 현재 건강 상태, 나이, 식습관 등에 따라 섭취 여부를 결정해 볼 수 있어요.  코엔자임큐텐 섭.. 2025. 3. 3.
흰쌀 vs 현미 vs 찹쌀 vs 흑미 주요 영양 성분 및 칼로리 비교 흰쌀 vs 현미 vs 찹쌀 vs 흑미 주요 영양 성분 및 칼로리 비교 흰쌀(백미), 현미, 찹쌀, 흑미로 밥을 지었을 때 약 200g인 1인분양을 기준으로 주요 영양 성분과 칼로리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 밥을 지을 때 물의 양과 추가 잡곡 여부에 따라 각 수치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이 점은 감안하여 확인하세요.   흰쌀 (백미) 흰쌀은 국내에서 다시 찬밥신세인데요. 요즘 혈당 관리를 하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흰밥은 혈당 상승을 일으킨다고 하여 인기가 별로 없습니다.  그런데 해외 특히 밀가루를 주식으로 하는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흰쌀을 건강식에 포함하여 먹곤 합니다. 흰쌀은 정제가 많이 된 쌀입니다. 하지만 소화 기능이 약한 분들은 소화에 쉬운 곡물이죠. 다만 정제를 많이 하다 보니 비타민과 미네랄이 적은 편입니다. 흰쌀은 200g당 약 300 칼로리입니다. 탄수화.. 2025. 2. 26.
녹차 vs 말차 하루 권장 섭취량은? 녹차 vs 말차 하루 권장 섭취량은? 결론적으로 녹차는 하루 2~3잔 정도, 말차는 일일 한 잔 정도가 권장되고 있습니다. 만약 카페인에 민감한 분은 말차의 양을 조금 조절하여 드실 것을 권장합니다. 녹차는 항산화 물질 등 건강에 좋은 성분들이 풍부한 편입니다. 하지만, 카페인도 포함하고 있어 개인의 체질과 건강 상태에 따라 적당한 섭취량이 달라질 수 있어요.   녹차 하루 2~3잔 권장되는 이유 녹차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와 같은 항산화물질이 풍부한데 이 성분은 항산화 작용이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 항산화 성분은 세포 손상을 막고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관련 연구에서는 일정량 이상 섭취할 때 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일본과 같은 녹차를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국가에서 진행된 대규모 코.. 2025. 2. 25.
아몬드 호두 견과류에 들어있는 항영양소란? 아몬드 호두 견과류에 들어있는 항영양소란? 아몬드, 호두 등 견과류에 함유된 대표적인 항영양소는 피트산, 탄닌, 옥살산, 단백질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견과류는 건강에 참으로 유익한 영양소가 많죠. 반면에 체내에서 일부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는 항영양소가 존재하는데요. 이러한 항영양소는 양날의 칼과도 같은 이면성을 가지고 있어요. 일부 영양소 흡수를 방해하면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죠.   항영양소란? 항영양소는 견과류, 씨앗류, 곡류, 콩류 등 주로 식물성 식품에서 많이 발견되는데요.  이는 식물이 성장하면서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방어 메커니즘 중에 하나입니다. 항영양소는 적절한 양을 섭취하면 오히려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피트산과 탄닌 등은 항산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심혈.. 2025.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