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쌀(백미), 현미, 찹쌀, 흑미로 밥을 지었을 때 약 200g인 1인분양을 기준으로 주요 영양 성분과 칼로리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각 밥을 지을 때 물의 양과 추가 잡곡 여부에 따라 각 수치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이 점은 감안하여 확인하세요.
흰쌀 (백미)
흰쌀은 국내에서 다시 찬밥신세인데요. 요즘 혈당 관리를 하는 분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흰밥은 혈당 상승을 일으킨다고 하여 인기가 별로 없습니다.

그런데 해외 특히 밀가루를 주식으로 하는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흰쌀을 건강식에 포함하여 먹곤 합니다.
흰쌀은 정제가 많이 된 쌀입니다. 하지만 소화 기능이 약한 분들은 소화에 쉬운 곡물이죠.
다만 정제를 많이 하다 보니 비타민과 미네랄이 적은 편입니다.
흰쌀은 200g당 약 300 칼로리입니다. 탄수화물은 62~64g, 단백질은 5~6g, 지방은 0.5~1g 정도이며 식이섬유가 0.6~1g으로 적은 편이죠.
흰쌀밥 건강하게 먹는 방법 - 잡곡밥 소화 어려운 분 보세요
흰쌀밥은 건강에 나쁘다는 인식이 강해지고 있는데요. 흰쌀밥은 도정 과정에서 각종 비타민, 미네랄이 많이 손실되어 그런 인식이 강하죠. 하지만 소화 기능이 약하거나 소화를 잘 못하는 분들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현미
현미는 껍질을 벗기지 않아 섬유질, 비타민 B군 중 특히 B1, B6가 풍부하고, 마그네슘, 망간도 많이 들어있는 편입니다.
현미는 비정제 곡물이다 보니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혈당 반응이 느린 편이죠.
다만 현미를 선택할 때는 발아현미가 좋으며 밥을 할 때 충분히 물에 불린 후 먹어야만 소화에 도움이 됩니다.
물론 소화력이 강력한 분들은 상관없지만 그래서 씹을 때 제대로 씹어서 섭취해야만 현미의 건강 상 이점에 대한 혜택을 볼 수 있어요.
현미 200g당 320 칼로리이고, 탄수화물 60~62g, 단백질 6~7g, 지방은 2~3g, 그리고 식이섬유는 3~4g 정도 함유하고 있습니다.
칼로리는 쌀보다 높은 편이고 식물성 지방과 식이섬유가 많은 편이죠. 사실 탄수화물과 단백질 함량의 차이는 별로 나지 않습니다.
흰쌀밥 vs 잡곡밥 건강에 더 좋은 밥은?
결론적으로 흰쌀밥과 잡곡밥 중에서 건강에 좋은 밥은 모두 좋을 수 있다가 정답입니다. 잡곡밥이 건강에 좋은 밥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죠. 잡곡밥은 흰쌀을 포함하여 다양한 곡물이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찹쌀
찹쌀은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아 끈적임이 강한 쌀 중에 하나입니다.
섬유질과 미네랄 등 여양 측면에서 백미와 큰 차이가 없으며 주로 떡을 만들 때 또는 김장을 할 때 찹쌀풀 등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찹쌀 1인분당 약 310 칼로리이며 탄수화물은 64~66g, 단백질은 5~6g, 지방은 0.5~1g, 그리고 식이섬유가 0.5~1g 정도 함유하고 있어요.
단백질 식이섬유 풍부한 국내 통곡물 BEST 10
식이섬유 풍부한 탄수화물과 식물성 단백질 공급을 위해 콩류와 통곡물을 많이 선택하게 되는데요. 특히 국내에서 많이 나는 콩류와 통곡물 중에서 단백질도 풍부하고 식이섬유가 많은 곡물은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흑미
흑미는 검은색을 띠는 안토시아닌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쌀인데요.
이런 특성으로 인해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흑미에는 섬유질, 철분, 아연 성분이 많고 현미보다 영양가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식감이 단단한 편인데 소화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요.
간혹 제대로 씹지 못하고 변으로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죠.
흑미 200g당 330 칼로리로 높은 편이며 탄수화물은 62~64g, 단백질은 7~8g, 지방은 3~4g, 그리고 식이섬유가 4~5g 정도가 들어있습니다.
이 4가지 쌀 중에서 가장 칼로리도 높고 영양 성분 및 식이섬유가 풍부합니다.
마무리
백미, 현미, 찹쌀, 흑미 4가지 쌀에 대한 칼로리 및 영양 성분을 알아보았는데요.
곡물을 선택할 때 보통 쌀의 외피가 남아있는 즉 비정제 곡물을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죠.
저 또한 흰쌀에 몇가지 잡곡을 추가하여 먹곤 합니다.
다만 비정제 곡물이 좋다고 해서 현미, 흑미와 같이 비정제 곡물로만 지은 밥을 삼시세끼 자주 먹을 경우 해당 쌀의 외피에 존재하는 옥살산과 피트산 성분도 그만큼 많이 섭취하게 되는 것이니 이 점을 고려하여 흰쌀과 적당히 섞어서 드실 것을 권장합니다.
흰쌀과 다양한 잡곡과 함께 그리고 여러 가지 반찬과 함께 섭취하면 혈당 조절에 큰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아몬드 호두 견과류에 들어있는 항영양소란?
아몬드, 호두 등 견과류에 함유된 대표적인 항영양소는 피트산, 탄닌, 옥살산, 단백질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견과류는 건강에 참으로 유익한 영양소가 많죠. 반면에 체내에서 일부 영양소의 흡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음식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엔자임큐텐 어떤 성분인가? - 효능 및 하루 권장 섭취량 (0) | 2025.03.03 |
---|---|
녹차 vs 말차 하루 권장 섭취량은? (0) | 2025.02.25 |
아몬드 호두 견과류에 들어있는 항영양소란? (0) | 2025.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