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스 케어 관련 정보

우울 vs 불안 구별하는 핵심 포인트는?

by 토킹헬스 2025. 2. 17.

결론적으로 우울감은 에너지가 떨어지는 것이고 반면에 불안은 오히려 에너지가 과도한 것을 말합니다.

 

참 아이러니한데요. 우울과 불안은 서로 다른 기전을 가지고 있지만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서 시작될 수 있고 한 가지 증상이 다른 증상으로도 발생할 수 있어요.

 

 

우울함과 불안감의 차이

 

우울과 불안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지만 작동하는 생리적, 신경학적 기전이 다르다는 겁니다.

 

우울 vs 불안 구별하는 핵심 포인트
우울 vs 불안 구별하는 핵심 포인트

 

우울은 영어로 depression이라고 하죠. 우울함에서 오는 주요 감정은 슬픔, 무기력, 흥미 상실 등입니다.

 

반면에 불안은 긴장감, 걱정, 두려움 등의 주요 감정이 나타납니다.

 

우울한 감정으로 인한 신체 반응은 보통 에너지 감소, 집중력 저하, 식욕 변화 등이 나타나요.

 

반면에 불안한 감정은 심박수 증가, 근육 긴장 및 수면 장애나 불면 등의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울감은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이 감소하는 기전을 보입니다.

 

이 3가지 신경전달물질이 감소하면 기분이 저하되고 흥미 상실 등의 우울한 감정을 갖을 수 있죠.

 

또한 코르티솔 조절 능력이 떨어져 에너지가 없고 피로감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불안한 감정 자주 일으키는 요인 - 감정 다스리는 실천 팁

불안한 감정은 누구에게나 들 수 있는 감정 중에 하나입니다. 다만 불안한 감정을 다른 사람에 비해 자주 느끼는 사람들 있는데요. 불안을 자주 경험하거나 불안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감정 조절이 어려워지게 되면 의욕 자체가 떨어지기 마련이죠. 이는 전두엽과 변연계 기능 저하로 인한 것입니다.

 

반면에 불안한 감정은 노르에피네프린의 증가로 인해 신경이 과민해 지고 예민함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일명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과다 분비하여 지속적인 긴장 상태를 유지하게 되죠.

 

편도체 즉 공포 반응이 과활성화되어 위협에 대한 과민 반응이 나타납니다.

 

 

부정적 감정 및 긍정적 감정 중 뇌에 더 자극되는 감정 알아보기

결론적으로 말하면 뇌는 부정적인 감정과 긍정적인 감정 모두로부터 자극을 받습니다. 그런데, 뇌의 편도체 지속성이 높은 사람은 위험 등을 감지했을 때 부정적인 감정이 증폭되어 나쁜 감정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우울 및 불안 감정의 특징 차이

 

예를 들어 우울한 감정이 드는 경우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 또는 무든 것이 무의미하다 등의 생리적으로 에너지가 떨어진 상태입니다.

 

불안 감정은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까 걱정되거나 계속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어 생각이 많아지는 것입니다.

 

또한 과도한 각성 상태로 인해 근육이 긴장하고 심박수가 증가하는 신체적 불편함이 동반되기도 하죠.

 

우울과 불안을 구별하는 핵심 포인트는 결국 에너지 저하와 에너지 과도함의 차이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우울과 불안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이를 혼재형 상태라고 하는데 무기력하면서도 동시에 불안감이 켜져 불면증이 심하질 수도 있는 경우입니다.

 

 

우울하고 불안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우울과 불안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감정입니다. 문제는 우울하고 불안한 감정이 삶 자체에 얼마나 악영향을 주는지에 따라 대처 방법이 다를 것입니다. 우울과 불안으로 인한 감정은 신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마무리

우울과 불안은 모두 정신적 또는 정서적 감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인데요.

 

위에서 언급했듯이 특정한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발생합니다.

 

문제는 근본적으로 이러한 신경전달물질 조절에 이상이 생겨서 우울과 불안 증세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우울과 불안감을 자주 느끼면서 에너지 조절에 문제가 발생하여 만성적인 생리적 이상 현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죠.

 

이는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서 시작될 수 있고 한 가지 증상이 다른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스트레스 적응력 키우는 방법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을 제대로 인지한 후 스트레스를 회피하지 않고 적응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스트레스 해소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세상을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또한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과도한 수면 시간이 대사 증후군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이유

과도한 수면은 적절한 수면 시간인 7~8시간 이상으로 계속되는 수면을 말하는데요. 과도하게 잠을 자는 것이 습관화되면 대사 증후군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장시간 잠을 자면 호르몬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