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적으로 뇌 질환인 파킨슨병의 중요한 전조 증상 중 하나는 렘수면 행동 장애입니다.
즉 파킨슨병은 수면과 아주 깊은 연관성이 있는데요.
수면단계 중 꿈을 꾸는 단계인 렘수면 중에는 일시적으로 근육이 마비됩니다. 이 상태가 정상적인 렘수면 상태예요.
그런데 파킨슨병 조기 진단의 중요한 지표로 손꼽는 것 중에 하나가 렘수면 단계에서 근육이 움직인다는 겁니다.
꿈을 꾸는 상태에서 근육이 움직이면 잠을 자면서 실제 행동하는 것처럼 팔, 다리를 움직여서 옆에 있는 사람을 발로 차거나 때리고 주먹을 휘두를 수 있다는 것이죠.
설명하다 보니 저 또한 무섭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파킨슨병은 그 정도로 무서운 뇌 질환입니다.
파킨슨병과 수면 연관성에 대한 작용 원리 알아볼까요?
파킨슨병은 정확히 말하면 신경퇴행성 뇌 질환입니다.
뇌 특정 부위의 신경이 파괴되면서 근육의 움직임에 장애가 발생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즉 파킨슨병으로 인해 근육의 움직임을 자유 의지대로 움직일 수 없다는 것입니다.
내가 스스로 팔을 들어야지라고 생각하면서 다리가 올라간다던지 등 운동 장애가 발생하는 것이죠.
위에서 설명한 대로 꿈을 꾸는 렘수면 단계에서 일시적으로 근육 마비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반대로 근육의 움직임이 발생하여 팔이나 다리를 휘두르거나 침대에서 낙상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면 5단계 특징 - 비렘수면 및 렘수면 단계 등
수면은 크게 비렘수면 단계와 렘수면 단계로 나뉩니다. 비렘수면(Non-REM) 단계는 보통 뇌파가 느려지고 근육의 움직임이 감소하는 단계예요. 비렘 수면 상태에서는 피로 회복, 성장 호르몬 등이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파킨슨병 환자 중 약 60~98% 정도가 수면 관련 문제를 경험한다고 해요.
그런데 파킨슨병 진단을 받기 전부터 전조 증상으로 렘수면 단계에서 꿈이 실제 현실화되듯이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 장애 증상이 먼저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건강한 수면을 위해 렘수면과 비렘수면의 차이 및 중요성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건강지키미 C 블로거입니다. 건강한 수면을 위해 렘수면과 비렘수면의 차이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렘수면은 얕은 수면이고 비렘수면은 깊은 수면으로 이 2가지 패턴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이처럼 지속적인 불면증 등의 수면 장애, 낮 동안 과도한 졸음, 렘수면 행동 장애 등의 수면 문제를 겪고 있다면 파킨슨병 검사를 해보는 것도 도움 될 것입니다.
결국 파킨슨병은 도파민 부족으로 수면과 각성 주기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고 떨림, 경직 등의 운동 장애 증상이 수면을 방해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무리
파킨슨병은 완치되지 않는 신경퇴행성 뇌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파킨슨병 조기 진단을 통해 빠르게 치료를 시행하면 증세를 완화하고 증상을 늦출 수 있다고 합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된 내용에 의하면 AI를 활용하여 혈액 속 단백질을 분석하여 파킨슨병과 관련된 8가지 단백질을 추출했는데요.
이 8가지 단백질이 모두 염증 반응 및 신경 손상과 관련이 있었다고 합니다.
파킨슨병 전조 증상인 렘수면 행동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이를 적용한 결과 파킨슨병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파킨슨병 전조 증상과 유사한 증상이 보인다면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초기 체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치매, 알츠하이머 예방에 도움 되는 마인드 식단 알아보기
마인드(Mind) 식단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마인드 식단은 치매, 알츠하이머 예방에 도움을 주는 식품으로 구성된 식단입니다. 마인드 식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마인드(Mind)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파킨슨병 vs 알츠하이머병 vs 치매 차이 알아보기
파킨슨병은 천천히 진행되는 뇌 특정 부위의 퇴행성 질환으로 근육의 떨림, 근육의 긴장감, 자세의 균형 유지가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하게 발생하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헬스 케어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하게 도파민 분비하는 방법 (0) | 2024.06.26 |
---|---|
장내 미생물 vs 마이크로바이옴 차이 무엇인가? (0) | 2024.06.18 |
장내 미생물 역할 및 이들 하는 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0) | 2024.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