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적으로 말하면 스트레스는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요.
만성적인 스트레스 즉, 계속해서 스트레스가 쌓여가면 해마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고 기능을 떨어뜨리고 전전두엽 피질 손상, 신경가소성 저하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스트레스를 방치하게 되면 서서히 나의 뇌를 손상시키는 요인 중에 하나로 만들게 됩니다.
해마 손상
해마는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에 매우 취약한 편입니다.
해마는 뇌에서 기억과 학습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해마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고 위축되도록 합니다.
이는 해마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것인데요. 결국 기억력과 공간 인지 능력 등의 학습 능력 저하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전전두엽 피질 손상 및 신경가소성 저하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편도체가 심하게 활성화되어 전전두엽 피질 기능을 저하시킵니다.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전전두엽 피질의 신경가소성 저하 및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주의력, 작업기억, 의사 결정 능력 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전전두엽 피질이 하는 일은 스스로 감정을 통제하고 사고력 및 기억력을 높이고 의사 결정 능력 및 계획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요.
전전두염 피질의 신경가소성이란, 뉴런 즉 신경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자체 능력을 의미하는데요.
이는 뇌가 스스로 재구성하고 형태를 바꿔서 새롭게 신경세포가 형성되는 것을 뜻해요.
쉽게 말해 스트레스로 인해 뇌의 신경세포 재생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신경 염증 유발
과도한 스트레스 및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뇌에서 일어나는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입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신경 염증이 나타나면 주의력, 기억력 등 인지 기능이 감퇴됩니다.
우울, 기분 저하, 무기력증, 불안감 등의 정서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 밖에도 지속적인 피로, 권태감 등이 계속되고 만성적인 두통이 나타날 수 있어요.
이러한 증상들이 계속되면 수면 및 각성 주기가 교란되어 불면증 등 수면 장애를 겪게 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스트레스로 인해 뇌가 손상될 수 있지만 이를 그냥 방치하지 않고 스트레스를 그때 그때 풀면 뇌 손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신만의 스트레스 해소법이 있다면 쌓이기 전에 풀면 되지만 스트레스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모르거나 무기력하게 방치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스트레스 적응력 키우는 방법
스트레스에 대한 개념을 제대로 인지한 후 스트레스를 회피하지 않고 적응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스트레스 해소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세상을 살아갈 수는 없습니다. 또한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헬스 케어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치매란? 주요 증상 및 치료 예방법 (0) | 2025.04.07 |
---|---|
갱년기 증상 심계항진이란? - 부정맥 증상과 차이점 (0) | 2025.04.01 |
디톡스 우리 몸에 필요한 이유 - 해독 방법 3가지 소개 (0) | 2025.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