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신경계는 말초신경계에 속하는 신경계 중 하나입니다.
체내의 장기와 심장, 외분비샘, 내분비샘을 통제하여 우리 몸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상성 역할을 합니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뉩니다.
자율신경계는 말 그대로 대뇌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의미로 자율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겁니다.
즉, 우리가 직접 조절할 수 없는 신체 내장기관의 조절을 담당합니다.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뉘는데 이 둘의 신경계는 서로 정반대의 기능을 하지만 상호 보완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균형이 이뤄져야 합니다.
교감신경은 척수의 중간 부분에서 나와 여러 내장기관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 안에 있는 절전신경세포와 중추신경계 밖에 있는 절후신경세포로 나뉩니다.
즉, 교감신경은 절전신경세포와 절후신경세포로 나뉜다는 말인데요.
교감신경의 절전신경세포는 여러 개의 절후신경세포와 연결되어 신체 여러 부위의 기능을 조절합니다.
교감신경은 주로 긴장, 공포, 흥분 등의 감정을 느끼는 위급한 상황, 격렬한 운동, 과도한 스트레스 등의 상황 및 이상형 등 마음에 드는 파트너를 만났을 때에도 신체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교감신경은 절전신경의 길이가 절후신경의 길이보다 더 짧습니다.
이는 절전신경이 끝나는 교감신경절은 척수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어 위와 같은 감정을 바로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운동하면 얼굴 빨개지는 이유 및 완화 방법 알아보기
결론적으로 운동을 과도하게 하거나 운동 시작 후 점점 시간이 지나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는 자율신경계 중에서 교감신경이 다른 사람에 비해 더 활성화되기 때문입니다. 얼굴이 빨개지는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동공이 확장되고 심박수가 증가하며 혈관이 수축하고 혈압이 상승합니다.
또한 입에 침이 마르고 기관지가 확장되고 위장관의 운동 기능을 떨어집니다.
부교감신경은 중뇌와 연수 및 척수의 꼬리 부분에서 나와 각 내장기관에 분포하여 있습니다.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에너지를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합니다. 즉, 긴장, 흥분, 피로, 공포 등의 감정을 가라앉히고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역할인 것이죠.
부교감신경도 교감신경과 마찬가지로 절전신경세포와 절후신경세포로 나뉘는데 절전신경의 길이가 절후신경의 길이보다 더 깁니다.
그 이유는 절전신경이 끝나는 부교감신경절이 척수에서는 멀고 작용하는 각각의 소화기관 쪽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부교감신경은 주로 심박수가 감소하고 혈관이 이완되며 혈압이 떨어집니다.
또한 침 분비가 증가하고 위산 및 췌장 등 소화액의 분비가 촉진됩니다. 이외에도 기관지가 수축하고 눈물의 분비가 증가하며 방광의 운동을 촉진합니다.
마무리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신체 내에서 서로 반대되는 작용을 하지만 균형이 이뤄져야 합니다.
교감신경은 주로 흥분, 긴장, 피로, 공포, 과도한 스트레스, 격렬한 운동 등 목숨을 위협하는 상황이거나 좋은 쪽으로 흥분하는 상태에서 활성화되는 신경계입니다.
부교감신경은 교감 신경과 반대로 휴식을 취하거나 음식물을 섭취하는 등 식사할 때와 같이 감정을 가라앉히고 에너지를 저장시키기 위해 활성화되는 신경계입니다.
말초신경 하는 일 무엇인가요?
말초신경은 신체의 피부 및 골격근, 모든 장기로부터 수집된 감각을 중추신경으로 전달하고 중추신경의 운동자극을 다시 이들에게 전달하는 신경을 말합니다. 말초신경은 척수신경과 뇌신경인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헬스 케어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력 회복 및 손상 관련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 알아보기 (0) | 2023.07.15 |
---|---|
안면 마비 원인 및 초기 증상 알아보기 (1) | 2023.07.08 |
비 오면 허리, 무릎 통증 발생하는 이유 알아보기 (0) | 2023.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