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 기능 약한 경우 식사를 어떻게 해야 할까? - 장에 부담을 주지 않는 음식

by 토킹헬스 2025. 7. 13.

특별한 질환은 없지만 장 기능이 약한 사람이 있습니다.

 

특히 특정 음식을 섭취하면 복부 팽만감이나 가스 발생이 자주 있는 경우가 있는데요.

 

 

보통 소화가 원활하지 않거나 장내 미생물이 불균형 상태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의 기능성 문제를 가진 경우가 많아요.

 

소화에 부담을 주지 않는 식단과 음식

장 기능이 약한 경우 체크해야 할 점

식이섬유 섭취는 신중하게 조절하기 식이섬유는 장 건강에 좋은 물질로 알려져 있어요.

 

하지만, 장이 약하거나 민감한 경우, 장 절제 수술을 받은 경우는 오히려 과도한 섬유질이 가스를 발생시키고 복부 팽만감을 일으킬 수 있어요.

 

 

곡물류 중에서도 통곡물, 해조류, 콩류, 견과류, 과일, 채소 등은 식이섬유가 풍부합니다. 이들 식품은 소화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음식들이에요.

 

식이섬유 섭취는 하루 권장량이 약 20~25g 정도인데요. 삶은 검은콩 100g이 약 7.5g이고, 아몬드 30알은 3.5g 정도 됩니다. 껍질째 사과 1개는 약 3g, 삶은 브로콜리 100g은 3.5g, 고구마 반 개 정도가 3g 정도 되는데요.

 

이들을 합치면 대략 식이섬유 20g이 좀 넘는데요. 사실 이 양은 상당한 양입니다.

 

장에 부담을 주는 음식 피하기

 

 

카놀라유, 해바라기씨유, 콩기름, 팜유 등 식물성 기름으로 만든 튀긴 음식, 카페인, 탄산음료, 술, 일반 우유, 밀가루 등은 장을 자극하기 쉬운 음식입니다.

 

또한 생야채나 견과류, 땅콩을 포함한 콩류, 참깨 및 치아시드와 같은 씨앗류 등은 식이섬유와 식물성 지방이 많은데 이 두 가지가 모두 장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가스 발생, 복부 팽만감, 복통, 설사, 변비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이들 음식은 일단 제한하는 것이 좋아요.

 

 

생 채소 vs 익힌 채소 건강에 좋은 것은?

생 채소와 익혀서 먹는 채소는 각각의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개인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따라 생 채소를 먹을지 익힌 채소를 먹을지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소화 기능이 떨어질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장 기능이 약한 사람의 기본 식단

 

 

채소를 먹을 경우 삶거나 데쳐서 조리된 채소를 먹습니다.

 

단백질 섭취를 할 경우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합니다.

 

예를 들어 지방이 조금 낮은 부위의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을 챙깁니다.

 

만약 소화 기능이 조금씩 좋아진다면 지방 부위와 함께 조금씩 드셔보세요.

 

탄수화물은 통곡물을 제외하고 흰쌀과 찹쌀, 찰기장 등으로 밥을 챙겨보세요.

 

감자와 고구마, 바나나는 조금씩 드실 것을 권장합니다.

 

피해야 할 음식

 

 

포드맵은 장에서 발효되어 가스를 생성하는 탄수화물 식품군인데요.

 

특히 복부 팽만감이 있는 사람에게 부담이 됩니다.

 

고포드맵 식품으로 양파, 마늘, 양배추, 브로콜리, 콩류 (팥, 렌틸콩, 병아리콩), 사과, 배, 자두, 복숭아, 유제품 (우유, 아이스크림 등), 밀가루 기반 빵, 파스타 등이 있어요.

 

이러한 음식은 처음에는 피하거나 줄이고 저포드맵 식품 위주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저포드맵 식품으로는 오이, 애호박, 당근, 바나나, 블루베리 등이 있어요.

 

가공식품, 탄산음료, 소르비톨, 자일리톨 등은 장을 자극하고 가스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너무 차갑거나 뜨거운 음식은 장을 자극하여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어요. 따뜻하거나 적당히 미지근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합니다.

 

 

마무리

 

장 기능이 약할 때 주의해야 할 점과 장 기능 약한 사람이 챙겨야 하는 식단, 피해야 하는 식품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문제는 장 기능이 약한 이유를 먼저 아는 것이 중요한데요.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인 장 기능 저하인지, 아니면 원래 장이 약한지, 또는 다른 질환으로 인해 장 기능이 약해진 것인지 등에 대해 먼저 파악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장내 미생물 불균형 디스바이오스 발생 이유

디스바이오시스란, 장내 미생물 환경이 불균형 상태라는 말인데요. 장 내에는 유익균인 프로바이오틱스와 병원균 등의 유해균이 서로 공존하면서 균형을 이루며 살아갑니다. 이들이 모두 균

talking-about-health.tistory.com

 

 

댓글